본문 바로가기

Robotics : 로봇공학/Trend : 동향

(7)
아마존, 첨단 '그리퍼' 개발 추진 …유연성↑, 3D로 주변 환경 포착 ’Amazon’s New “Pinch-Grasp” Warehouse Robot Can Handle 1,000 Items an Hour’, MDM, 2022. 9. 30. ; ’Prime picking! New Amazon warehouse robot can handle ONE THOUSAND items per hour using 'pinch-grasp' technology to mimic human workers,’ Daily Mail, 2022. 9. 27. 개요 아마존이 물류창고에서 물품을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작업에 사용되는 첨단 '그리퍼' 개발을 추진 - 연구 중인 '핀치-그래스프(PG)' 기술을 이용하면 시간당 처리 물품을 1,000개 정도로 늘리면서도 물품 손상은 1/10로 줄이는 효과가 있는..
물류시설 기계화/자동화 기술 - 도입 시 고려 사항 '進展する物流施設の機械化と自動化: より速くより効率的な物流の今と先を読む', JLL, 2022. 10. 6. ; '物流倉庫DXとは何か? 日立、Mujin、ソニーら主要企業の事例10選', ビジネス+IT, 2022. 7. 26. 물류시설에서 사용되는 기계화/자동화 기술은 공급사슬 전체의 운용 효율화·장기적 비용 관리·신속화·유연성향상으로 연결, 입주 기업은 물론 투자자와 시설 개발업자에도 중요 기술 도입 시에는 근로자 업무와 기술 이점의 균형을 고려할 필요, 이 때 중요한 판단 근거는 '비용' 개요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기계화/자동화 기술이 물류시설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 - 인간 대신 물품 보관과 이동 등 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하는 이들 기술은 물류 운영 효율을 높이는 원동력, 보다 빠른 배송 서비스와 폭넓..
delivery robot? Mobile robot AGV and AMR definition, difference 배달로봇? 모바일 로봇의 AGV 와 AMR 정의, 차이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바일 로봇인 AGV AMR 차이 및 정의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최근 공장 및 물류센터의 자동화 솔루션 적용에서 벗어나 일상생활 속에서도 서비스로봇으로도 접하게 되면서 자주 언급되는 두 가지 모바일로봇(Mobile Robot)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에 따라 최근에는 공장, 물류 목적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자동화 솔루션을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이전에는 인건비가 높은 선진국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요즘에는 온라인을 통한 주문량이 늘어나면서 물류, 유통이나 커머스 각 영역에서 이를 적극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 도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동화 솔루션 적용에 있어 가장 ..
Sensors for Robotics 2023-2043 : Technologies, Markets, and Forecasts Acronyms AGV: Automated guided vehicles AMR: Autonomous mobile robots CCD: Charge-coupled device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obot: Collaborative robot CPS: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DVL: Doppler velocity log EKF: Extended Kalman Filter EoAT: End-of-the-arm-tooling FLS: Forward-looking sonar FoV: Field of view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HRI: Human robot interaction IFM: ..
물류 혁신 첨병, AGV vs AMR https://www.koti.re.kr/user/globalLgist/BD_selectGlobalLgist.do?q_sn=728 글로벌 물류기술 동향 | 메인 > 특화사업 > 스마트물류연구센터 > 물류기술 동향 정보 > 글로벌 물 Korea transport institute 홈> 특화사업 > 스마트물류연구센터 > 물류기술 동향 정보 > 글로벌 물류기술 동향 > 동향 2022 Volume 16. Issue No.692 글로벌 물류기술 동향 Global Logistics Technology Trend 2022.12.22 Contents www.koti.re.kr · 물류 혁신 첨병, AGV vs AMR · 물류시설 기계화/자동화 기술, 도입 시 고려 사항 물류 혁신 첨병, AGV vs. AMR 참고 'A..
로봇 국내 시장 동향 ~2020 우리나라 로봇시장 현황 □ 한국은 연간 제조업용 로봇 설치 기준 일본, 중국, 미국에 이어 네 번째로 큰 로봇 시장이나, 2020년에 설치된 제조업용 로봇은 30,506대로 전년 대비 7% 감소함18) □ 2020년 매출액은 5.4조 원으로 제조용 로봇이 전체의 52.4%로 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15.7%로 성장 단계임 ○ 산업용 로봇 매출은 소프트웨어 및 주변기기, SI(System Integration)에 대한 부분을 제외한 수치로, 이것이 포함할 경우 약 410억 달러(약 47조)로 예상됨 □ 서비스용 로봇은 제조업용 로봇에 비해 수출과 수입의 비중은 적으나, 증가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로봇시장의 수출액은 제조업용 로봇, 로봇부품, 서비스용 로봇 순으로 많았으며, 증가율은 ..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 -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결론 ○ 대형 신규 R&D사업의 추진 타당성을 조사함으로서 차년도 예산심의 참고자료로 활용 ○ 정책적 제언 - 표준활동과의 연계 및 실증 방안, 타 시설과의 차별성 및 운영계획 등을 바탕으로 실환경 인프라에 대한 구축 타당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인프라 항목과 규모는 서비스로봇의 시장 규모, 기업 니즈 등을 바탕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음 - 시험평가체계개발은 표준화, 인증과 밀접하게 연결되므로, 표준화 및 인증에 대한 기술개발과 표준화 전략이 확정된 이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됨 주요내용 ○ 과학기술적 타당성 - 서비스로봇 분야의 표준 선점, 실증테스트 환경 제공 중심의 문제/이슈는 적절하게 발굴되었으나, 표준, 인증, 실증 등을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 방안 제시가 미흡함 ▶ 전자제품 인증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