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obotics : 로봇공학/Trend : 동향

로봇 국내 시장 동향 ~2020

우리나라 로봇시장 현황

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KAR),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각 연도

□ 한국은 연간 제조업용 로봇 설치 기준 일본, 중국, 미국에 이어 네 번째로 큰 로봇 시장이나, 2020년에 설치된 제조업용 로봇은 30,506대로 전년 대비 7% 감소함18)

□ 2020년 매출액은 5.4조 원으로 제조용 로봇이 전체의 52.4%로 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15.7%로 성장 단계임

○ 산업용 로봇 매출은 소프트웨어 및 주변기기, SI(System Integration)에 대한 부분을 제외한 수치로, 이것이 포함할 경우 약 410억 달러(약 47조)로 예상됨

 

□ 서비스용 로봇은 제조업용 로봇에 비해 수출과 수입의 비중은 적으나, 증가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로봇시장의 수출액은 제조업용 로봇, 로봇부품, 서비스용 로봇 순으로 많았으며, 증가율은 서비스용 로봇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국내 로봇산업의 2019년 수출액은 1조 1,2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함

- 제조업용 로봇의 2019년 수출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8,758억 원, 수입은 2.0% 감소한 3,947억 원임

- 서비스용 로봇의 2019년 수출은 전년 대비 9.0% 증가한 1,041억 원, 수입은 162.2% 증가한 375억 원임

- 서비스용 로봇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수출은 전년 대비 44.2% 증가한 반면, 개인서비스용 로봇은 2.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로봇부품의 수출액은 전년대비 5.1% 증가한 1,491억원 으로 나타남

○ 로봇시장의 수입액은 제조업용 로봇, 로봇부품, 서비스용 로봇 순으로 많았으며, 증가율은 서비스용 로봇 중 개인서비스용 로봇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19년 국내 로봇산업 수입액은 5,59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5% 감소함

- 서비스용 로봇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과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각각 71.3%, 427.8% 증가하였으며, 특히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수입액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로봇부품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41.0% 감소한 1,270억 원으로 나타남

 

<표 2-8> 우리나라 로봇시장 수출입 현황

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KAR),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각 연도

□ 서비스용 로봇 중, 전문서비스용 로봇은 생산, 수출, 내수가 전년대비 증가함

○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수출은 생산액의 10% 내외로 나타남

○ 전문서비스용 로봇 중, 안전 및 극한작업용 로봇과 기타 전문서비스용 로봇이 생산, 수출, 내수가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9년 수출액 중, 건설용 로봇의 비중이 33.4%로 가장 높았으며, 전년대비 수출액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표 2-9> 우리나라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현황

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KAR),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각 연도

□ 서비스용 로봇 중, 개인서비스용 로봇은 생산, 수출, 내수가 전년대비 감소함

○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수출은 생산액의 30% 미만으로 나타남

○ 개인서비스용 로봇 중, 여가지원용 로봇과 기타 개인서비스용 로봇이 생산, 수출, 내수가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2019년 생산액 중, 가사용 로봇의 비중이 56.0%로 가장 높았으나, 전년대비 생산액, 수출액, 내수 등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표 2-10> 우리나라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 현황

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KAR),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각 연도

□ 우리나라 로봇 부품의 국산화율은 43.2%로 나타났으나,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국산 화율은 46.5%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2-11> 로봇별 부품의 국산화율 현황

출처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2019 국내 로봇 부품 국산화율 실태조사, 2019

□ 로봇기업의 사업체 수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매출액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자본금 규모 50억원 미만의 기업 수는 95.1%이나, 매출액은 41.0%에 불과함 - 반면 자본금 규모 100억 원 이상 기업은 3.1%에 불과하나, 매출액은 53.6%에 달함

○ 자본금 10억 원 미만과 100억 원 이상 기업은 사업체 수와 매출액은 증가 추세로 나타남

 

<표2-12> 자본금 규모별 사업체 수 및 매출액

출처 : 한국로봇산업협회(KAR),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각 연도